해지다해어지다
-
해어지다? 해지다? 헤어지다?: 가방이 헤어지는 불상사 앞에서잘, 쓰는 사람 되기 2021. 5. 4. 01:19
최근 중고거래를 활발히 하다보니, 사람들이 자주 틀리는 맞춤법 실수가 눈에 띄었다. 해어지다/해지다/헤어지다 가방이 헤어지고, 옷이 헤어지는 불상사 앞에서 이 표현은 꼭 포스팅을 올려야겠다고 다짐했다! ;-) 의류를 판매하며 사람들은 옷이 닳아 떨어진 곳이 없고 상태가 좋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싶었을 것이다. 구멍나거나 손상된 것이 없다는 의미를 담고 싶었던 것! 그렇다면 결론부터 적자면, 해어지다/해지다를 써야 한다. 예) 해어진 조끼, 해진 모자 사전 의미는 이렇다. ★해어지다/해지다[동사] 닳아서 떨어지다. 그렇다면 "해어지다"와 "해지다"의 차이는 무엇일까? "해지다"는 "해어지다"의 준말, 즉 줄임말이다. 두 표현은 뜻이 같다. 해지다 = 해어지다 두 단어 모두 닳아서 떨어진다는 의미로, 활용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