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어떤 표현이 높이는 말일까?잘, 쓰는 사람 되기 2021. 3. 22. 23:31728x90728x90
"시청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시청자 여러분 고맙습니다."
뉴스가 끝날 때 앵커들의 인사말에서 뭔가 이상하다고 느끼는 분들이 있을 거라 생각해요.
바로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의 사용 때문이죠.
뉴스가 끝나고 앵커들은 "고맙습니다"라고 인사합니다.
방송에서는 흔히 시청자를 높이는 표현을 많이 쓰곤 하는데, 왜 '감사합니다'가 아닌 '고맙습니다'로 인사하는 거지?
하고 의문을 가져 본 이도 분명 있을 것 같아요.
그만큼 일상 생활 속 보통 사람들은,
'감사(感謝)합니다'를 높임 표현처럼 생각해서 사용하고
'고맙습니다'를 좀 더 낮은말이라 생각하는 사용하는 것 같아요.
어른들에게는 대부분 '고맙습니다'보다는 '감사합니다'를 사용하는 식으로요.
그치만 저는 평소에도 어른들에게도 뉴스 속 앵커들처럼 "고맙습니다"라는 말을 사용한답니다.
*
왜냐!
감사합니다와 고맙습니다라는 말에는 사실 높임 관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는 고맙습니다의 높임 표현이 아니다"라는 말이죠!둘의 차이를 따져보면,
'고맙습니다, 고마움, 고맙다'가 우리말이고,'감사(感謝)합니다, 감사함, 감사하다'는 한자어라는 것뿐입니다.
*
감사합니다라는 말이 딱히 어법에 틀리거나 한 건 아니지만
격식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이왕이면
'감사하다'보다는 고유어인 '고맙다'를 쓰는 게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 바입니다.이런 점 때문에 공공기관이나 언론에서는 '고맙다'를 주로 사용하는 것이고요.
후배인 누군가가 자신에게 감사합니다/감사해요 대신 고맙습니다/고마워요라는 표현을 써도
따지거나 기분 나빠하는 분들 없으셨으면 좋겠어요.
또 오늘부터는 감사합니다 대신
예쁜 우리말 고맙습니다를 써보시면 어떨까요? :-)728x90728x90'잘, 쓰는 사람 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 틀리는 맞춤법: 어이없다 어의없다? 희안하다 희한하다?? 어줍잖다 어쭙잖다??? (0) 2021.05.22 해어지다? 해지다? 헤어지다?: 가방이 헤어지는 불상사 앞에서 (0) 2021.05.04 들리다 들르다, 자막에서도 실수하는 이 표현 (0) 2021.03.17 아니에요 아니예요 / 보검이에요 보검이예요 : 이에요, 예요, 에요 (0) 2021.02.28 거예요 거에요 꺼에요 꺼예요, 이런 맞춤법을 똑바로 쓰면 사람이 달라 보인다 (0) 2021.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