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기후로 늘어나는 도시농부: 주말농장, 도시텃밭, 상자텃밭, 스마트팜이란신문 읽고 세상 공부 2025. 3. 6. 11:21728x90728x90728x90
요즘 장을 보러 가면 높은 물가에 깜짝 놀라곤 해요!
저는 식재료 구독서비스는 이용하지 않고요, 늘 하나로마트에 방문해서 직접 4인 가족 장을 보는데요.
예전에는 대형마트 직배송을 자주 이용했는데,
묶음 단위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이 좁아 필요보다 더 많은 식자재를 사게 되어
결국엔 버리는 쓰레기도 많고 오히려 과소비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바빠도 꼭 마트에 직접 방문해 식자재의 상태와 포장 수량 등을 체크하여 구매합니다.
꼼꼼히 비교해 꼭 필요한 것만 골라 담았는데도 늘 생각보다 더 많은 금액이 나와 놀라지요.
사진: Unsplash 의 Sharon Pittaway 도시농부, 도시텃밭, 상자텃밭 쓰는 이유
물가가 비싸지는 이런 상황은 여러 정치경제 상황이 종합되어 비롯되는 것이 가장 크겠지만,
근래에는 이상기후 때문에 작황 상황에 변수가 생기고, 그로 인해서 채소 가격 변동이 심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집이나 텃밭에서 직접 먹거리를 수확하는 '도시농부'가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서울시와 각 자치구는 상자텃밭, 도시텃밭 등의 분양 물량을 예년 수준보다 확대하고 있어요.
2023년 기준 전국의 도시농업 참여자는 176만5000여 명에 이르고 이중 서울시 참여자만 약 65만 명일 것으로 추산됩니다.
◆ 결국 급등한 농산물 가격 때문에 가계 부담을 줄이려는 움직임인 것이지요.
◆ 최근에는 건강을 위해 무농약, 무비료 작물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도 하고요.
◆ 또한 작물을 키우며 정서적인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도시농부 생활을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합니다!
반응형주말농장, 도시텃밭, 상자텃밭 이용 추세
이에 따라 서울시와 자치구는 공동주택 내 유휴지나 생활권 자투리 공간을 활용해 텃밭 조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도시 농업 조성면적은 2011년 29만 제곱미터에서 2025년 222만 제곱미터로, 8배가량 확대되었습니다.
자투리밭 > 공원텃밭 > 학교텃밭 > 옥상텃밭 > 상자텃밭 순으로 많다고 하네요.
*동대문구는 3월 7일까지 가정 내 자투리 공간에 활용 가능한 텃밭상자, 배양토, 모종, 안내문으로 구성된 상자텃밭 762세트를 분양하고,
*도봉구는 베란다, 옥상 등 작은 공간용 상자텃밭 1800세트를 보급한다고 하니,
받아서 직접 농작물을 키워보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사진: Unsplash 의 Elisa Calvet B. 스마트 팜(Smart farm)이란?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친환경 미래 먹거리 사업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스마트 팜'도 도시에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해요!
지난해 서울시는 사회복지관, 도서관, 시니어클럽 등에 스마트팜 6곳을 조성했습니다.
◆ 스마트 팜(Smart farm)은 정보기술을 접목해 지능화된 농장을 뜻합니다.
- 정보기술을 이용해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정 분석 가능
-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변화 가능
-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원격 관리 가능
스마트 팜 장점, 효과?
이를 통해 농업의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 걸쳐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품질이 향상되어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 팜 자세히 읽기
스마트 팜 관련 영상 보기
흙과 태양이 없어도 농사 지을 수 있다?
빌딩, 사막, 심지어 우주에서도 농사를 짓는 차세대 산업 '식물공장' [KBS 20180504 방송]
https://youtu.be/MUIKJQD_sXE?si=CLQVf2hPod5cMLUf
728x90728x90'신문 읽고 세상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돌입, 홈플러스 상품권 환불할까? (1) 2025.03.06